본문 바로가기

주식

(7)
건강보험료 자동이체 방법 (주식으로 연 3,400만원 넘게 벌면 추가 보험료 얼마나 될까?) 안녕하세요? 주식으로 돈을 좀 벌면 직장인 월급에서 자동 공제되는 건강보험료 외 추가 소득에 따른 보험료를 납부를 해야 합니다. 우편함에 안쪽에 들어가 있는 고지서를 발견 못해 연체료를 물게 됐습니다. 자동이체는 꼭 해야겠습니다. ※ 건강보험료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 클릭 (미완성)※ 키움증권 내가 주식으로 번 돈 확인하기 ← 클릭 (미완성)자동이체 방법을 보기 전에, 주식 매도차익에 따른 건강보험료는 얼마나 되는지 보도록 하겠습니다.■ 건강보험료 건강보험료의 식은 아래와 같은데요. 쉽게 주식에서 번 돈에서 3,400만원을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 0.654%를 곱하면 됩니다. 즉, 3,400만원보다 초과하여 번 돈 100만원당 월 6,540원의 보험료를 추가로 내게 됩니다.건강보험료 = ①소득월액 보험..
키움증권 VIP 조건 및 혜택 정리 (한 달 200억 이상 거래하면 어떻게 될까?) 안녕하세요? 2022년 3월 한 달 동안 미국주식 244억원을 거래하면서 키움 VIP(영웅클럽)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저도 상당히 당혹스러운데요. 글 서두에 가장 먼저 말씀드려야 할 것은 저는 돈이 전~혀 많지 않다는 것입니다. 거래금액이 244억이라고 해도 1억으로 244번, 1천만원이면 2천 번가량 거래하면 되겠죠^^? [키움증권 글로벌(미국주식) VIP] - 조건 ('22.3월 기준) ※ 키움에 전화해서 VIP 조건을 물어봐도 안 알려주는 관계로 본인 사례 기반 작성 한 달 동안 244억 거래하니 VIP 됐음 이리저리 알아보고 내린 결론 → 매달 거래량(수수료) 순위로 끊는 듯 - 혜택 (기간 3개월) 신세계 상품권 10만원 1회 생일 신세계상품권 5만원 / 결혼기념일 파리바게트 해피콘 2만 5천원 ..
주식시장의 사계절 4편. 가을 (역금융장세, 그때 팔걸 할때 팔걸 할때 팔껄...) 안녕하세요? 지금까진 겨울부터 봄과 여름이 지나는 과정을 봤습니다. 주식시장은 따뜻할 것만 같았지만, 언제나 그랬듯 하락 폭이 가장 심한 가을이 찾아오게 됩니다. 가을은 왜? 어떻게? 찾아오게 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 주식시장의 사계절 - ① 봄, 금융(유동성)장세 → ② 여름, 실적장세 → ③ 가을, 역금융장세 → ④ 겨울, 역실적장세 → 그리고 ① 봄... 구분 봄 여름 가을 겨울 국면 유동성 장세 실적 장세 역금융 장세 역실적 장세 금리 ↓↓ ↗ ↑↑ ↘ 주가 ↑↑ ↗ ↓↓ ↘ 실적 ↘ ↑ ↗ ↓ 3. 가을, 역금융 장세 - 기간 : 2021.11월 이후 ~ 현재 (작성일 '22.6월) - 美 통화정책 · '21.11월 미 연준 긴축 (테이퍼링) 시작 · '22.3월 미 기준금리 25bp(0.25..
주식시장의 사계절 3편. 여름 (실적장세, 할머니도 주식 사는법 물어보는 계절) 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팅에서 추운 겨울에서 따스한 봄이 오는 과정을 봤습니다. 봄이 최고의 계절일 것 같은데, 봄보다 아름다운 계절이 있을까요? 네 있습니다. 주식시장에서 여름은 정말 끝내주는 계절인데요. 기업실적과 경제지표들이 이를 뒷받침 해주는 근거 있는 자신감의 계절이기 때문입니다. 그럼 여름에 대해 알아보러 출발해 보실까요? - 주식시장의 사계절 - ① 봄, 금융(유동성)장세 → ② 여름, 실적장세 → ③ 가을, 역금융장세 → ④ 겨울, 역실적장세 → 그리고 ① 봄... 구분 봄 여름 가을 겨울 국면 유동성 장세 실적 장세 역금융 장세 역실적 장세 금리 ↓↓(기준금리) ↗(시장금리) ↑↑(기준금리) ↘(시장금리) 주가 ↑↑ ↗ ↓↓ ↘ 실적 ↘ ↑ ↗ ↓ 2. 여름, 실적 장세 요약 - 기간 : ..
주식시장의 사계절 2편. 봄 (유동성 장세, 본격 돈파티 시작) 지난 포스팅에서 겨울(코로나 펜데믹)이 찾아오는 과정을 봤습니다. 겨울이 왔으면, 또 봄이 찾아오겠죠? 이제 봄은 어떤 식으로 왔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주식시장의 사계절 - ① 봄, 금융(유동성)장세 → ② 여름, 실적장세 → ③ 가을, 역금융장세 → ④ 겨울, 역실적장세 → 그리고 ① 봄... 구분 봄 여름 가을 겨울 국면 유동성 장세 실적 장세 역금융 장세 역실적 장세 금리 ↓↓ ↗ ↑↑ ↘ 주가 ↑↑ ↗ ↓↓ ↘ 실적 ↘ ↑ ↗ ↓ - 기간 : 2020.3월 이후 ~ 7월경 (7월부터 기업실적 급반등) - 美 통화정책 · '20.3월 기준금리 0~0.25bp 수준으로 100bp (1%p) 인하 · 양적완화 정책 시행으로 시장 무제한 유동성 공급 선언 (채권 무제한 매입) - 주가 흐름 ·..
주식시장의 사계절 1편. 겨울 (코로나 펜데믹이 온 진짜 이유?) 지난 포스팅에 주식시장의 사계절에 대해 처음 듣게 된 개인적인 이야기를 잠시 해봤는데요. 이번 편에 본격적으로 주식시장의 사계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주식시장의 사계절 - ① 봄, 금융(유동성)장세 → ② 여름, 실적장세 → ③ 가을, 역금융장세 → ④ 겨울, 역실적장세 → 그리고 ① 봄... 구분 봄 여름 가을 겨울 국면 유동성 장세 실적 장세 역금융 장세 역실적 장세 금리 ↓↓ ↗ ↑↑ ↘ 주가 ↑↑ ↗ ↓↓ ↘ 실적 ↘ ↑ ↗ ↓ 겨울이 있기에 봄이 있다. 겨울인 코로나 펜데믹이 오게 된 이유? 봄은 유동성 장세, 강력한 돈의 힘으로 시장을 끌어 올리는 회복기입니다. 이러한 봄이 있다는 것은 분명 겨울이 있었다는 것이죠. 가장 최근 주식시장의 겨울은 언제였을까요? 네 모두 아시다시피 2020년..
주식시장의 사계절 예고편 (주식시장의 사계절을 알게 된 계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주식시장의 사계절에 대해 포스팅해 보려 합니다. 가독성을 고려해 총 4~5편 정도로 짧게 올리려 합니다. 워낙 중요한 내용이고, 잘 쓰고 싶은 생각도 있어서 작성해놓고도 생각나면 업데이트하려고 하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주식시장의 사계절을 처음 알게 된 것은 2014년 대학교의 재무관리 수업 때입니다. 당시도 요즘(2022년)과 비슷하게 미국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이슈로 주식시장 변동성이 상당했는데요. 미국이 2008년 기준금리를 0~25bp 수준까지 인하한 뒤, 최초로 기준금리 인상을 한 것이 2015년 말이었고, 2014년 당시에도 한참 금융긴축과 금리인상에 대해 거론될 때이기에, 미국 FOMC 회의 때마다 매파적 성향과 비둘기파적 성향이 몇 대 몇..